반응형

과학 14

베타엔돌핀(Beta-Endorphin or β-Endorphin)

베타엔돌핀 (Beta-Endorphin or β-Endorphin) 중추 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내의 호르몬 인간에서 생산되는 세 가지 엔돌핀 중 하나 배고픔, 스릴, 통증, 모성 관리, 성행위 및 보상인지와 관련있음 스트레스를 줄이고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로 신체에서 사용됨 특히 새로운 자극에 반응하여 부피 전달을 통해 방출 작용 신체 스트레스 감소 보상 효과 강력한 진통 효과 행동 안정성 항상성을 유지하여 통증 관리 그 밖에 특징 급성 운동과 훈련에 반응하여 증가 무언가 배우려는 노력, 집중, 의욕에 찬 마음가짐을 가졌을때 증가

과학/물질 2021.05.17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교감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호르몬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 부신수질에서 생성 작용 교감신경계 자극 집중력 증가 혈류량 증가 대사활동 증가 말초혈관 수축 → 혈압을 크게 상승시킴 그 밖에 특징 스트레스를 받으면 노르에피네프린(노르아드레날린)이 과도하게 분비되고 이를 멜라닌 줄기세포가 흡수하여 색소 공급원의 기능을 상실함으로 흰머리가 생긴다.

과학/물질 2021.05.17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ACh) 자율신경절의 기본적인 신경전달물질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모두 작용 원심성 체성신경계에 작용하는 유일한 신경전달물질 작용 중추신경계에서 흥분을 억제하는 역할 신경조절인자로서 각성 및 보상체계에 관여 각성 상태일 때 감각 지각을 강화하는 역할 계속해서 주의 집중하는 데 주요한 역할 말초신경계에서 근육을 활성화시킨다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작용 자율신경계에서 주요 신경전달물질로 작용 그 밖에 특징 아세틸콜린을 생산하는 콜린성 시스템이 손상되면 알츠하이머 병과 연관된 기억 손실이 생길 수 있다. → 알츠하이머 환자에게는 αβ42형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감소하기 때문 아세틸콜린 수용체 작용제는 중증 근무력증과 알츠하이머 병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렘 수면을..

과학/물질 2021.05.17

니코틴(nicotine)

니코틴 (Nicotine) 가지과의 식물에서 발견되는 알칼로이드 물질 주로 담배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 토마토, 감자, 가지와 피망에도 적은양이 들어있음 옛날에는 살충제로서 널리 사용됨 작용 이완 기민: 아세틸콜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켜 경각심이 향상 진정: 베타엔돌핀의 증가로 불안감 감소 각성: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켜 각성을 높인다. 아세틸콜린과 베타엔돌핀을 증가시켜 고통 감소 아세틸콜린을 증가시켜 집중 및 기억력 향상 온화한 행복: 니코틴은 또한 두뇌보상계의 감수성을 높인다. 특징 자극 효과를 얻으려는 흡연자는 짧고 빠르게 피우기(quick puffs)를 한다. → 이는 낮은 수준의 혈중 니코틴 농도를 만들어낸다. 이 상태는 신경 전달을 자극한다. → 니코틴은 잠재적으로 두뇌의 노르에피네프린과 도..

과학/성분 2021.05.17
반응형